세종 대왕님이 만드신 훈민정음! 주시경 선생이 '한글'이라고 이름을 고쳐 이제껏 우리는 우리나라의 말과 문자를 '한글'이라는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어요. 세계의 수많은 문자 가운데 언어학자들이 꼽은 가장 과학적이며 우수한 문자가 한글이라는 사실이 우리나라 케이팝의 활약으로 전세계로 퍼지고 있어요. 그 가운데 돌민정음이 있습니다. 그 이야기 속으로 함께 Go! Go!
유행의 첨단
'돌.민.정.음'을 아시나요?
방탄소년단, 블랙핑크 등 해외에서 활약하는 국내 아이돌 덕분에 케이팝의 인기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어요. 최근 2-3년간 이러한 케이팝과 더불어 새로운 한글문화 '돌민정음'이 해외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어요.
'돌민정음'이 뭐예요?
돌민정음은 발음을 소리 나는 대로 적는 훈민정음의 특징을 활용한 신조어
돌민정음은 '아이돌(Idol)'과 '훈민정음'의 합성어로, 아이돌 그룹의 팬들이 주로 사용하는 단어를 한국어 발음 그대로 영어로 쓰는 것을 말해요. 'Oppa(오빠)', 'Maknae(막내)', 'Aegyo(애교)'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주로 외국어로 번역했을 경우 우리 말의 어감이 살지 않거나 적절하게 대체할 단어가 없는 경우 사용한다고 해요. 돌민정음이 하나의 케이팝 팬 문화로 자리 잡으면서 한글에 대한 해외 팬들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고 해요.
표음문자는 소리글자를 말해요. 그 말은 소리만 있다면 표기가 가능하다는 말입니다. 한글과 영어는 소리나는 대로 자음과 모음을 합하여 표현할 수 있는 소리글자입니다. 그래서 한국어를 소리나는 대로 영어로 쓸 수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영어보다 한글이 쓰기도 쉽고 훨씬 더 많은 소리를 정확하게 표기할 수 있어요. 즉 한글은 소리를 구성하는 글자의 기본 원리만 알면 어떤 소리든지 문자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해요.
*튜브에서 인기있는 한국어 강좌
돌민정음 덕분에 요즈음 *튜브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강좌가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해요. 그런데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의 공통적인 의견이 뭔지 아시나요? 바로 배우기가 쉽다는 것입니다. 왜일까요?
'한글'은 왜 배우기 쉽나요?
한글은 표의문자가 아닌 표음문자이기 때문입니다. 역사적으로 문자의 발달은 그림문자에서 글자 하나하나가 뜻을 나타내는 표의문자로 발전하였어요. 대표적으로 한자어가 표의문자에 해당돼요. 표의 문자의 가장 큰 단점이 바로 문자의 수가 많다는 거예요. 현재 중국에서는 5-6천자의 글자를 알아야 원만한 의사전달이 된다고 해요. 그러나 한글은 의사소통을 위해 자음자 19개(쌍자음 5개 포함), 모음자 21개만 알면 모든 글자를 조합해서 표현할 수 있어요.
단순한 모양, 그 속에 담긴 예술성
단순해서 변형이 무궁무진해요. 한글 모양을 본뜬 건축물도 있어요.
그림문자에서 발전한 표의문자는 대부분 문자의 획도 많고 쓰기도 복잡해요. 반면, 우리 한글은 문자의 획도 단순해서 쓰기가 쉽죠. 모양만 봐서는 세계에서 가장 단순한 문자가 아닐까해요. 그래서 더욱 변형이 무궁무진해요. 한글만큼 다양한 글자체를 가지고 있는 문자도 없다고 해요. 단순하지만 한글이 가지고 있는 예술성 때문에 많은 작가들이 한글을 소재로 한 예술품을 만들어 내고 있어요. 고마워U님들도 도전해보아요.
다른 나라의 말과 문화 지킴이 한글
한글을 공식문자로 사용하는 나라
이러한 한글의 우수성 때문에 세계에서 우리나라 문자 '한글'을 공식문자로 사용하는 나라들이 있다고 해요. 가장 대표적인 곳이 바로 인도네시아 부톤섬의 찌아찌아족입니다. 찌아찌아족이 사용하는 언어와 인도네시아어는 완전 다르다고 해요. 문자가 없는 찌아찌아족은 라틴 알파벳과 한글 중에 어떤 문자를 사용할지 고민을 하다가 찌아찌아족 말의 발음을 더 잘 표현할 수 있는 '한글'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고 해요.
찌아찌아족이 사용하는 한글에는 우리나라에서는 사라진 ㅸ도 사용한다고 해요. 찌아찌아족 말의 소리를 완벽히 나타낼 수 있다고 해요. 그외볼리비아 아이마라부족, 솔로몬제도 일부 주가 '한글'을 사용하고 있어요.
고마워U님, 케이팝 열풍으로 아이돌 팬층인 세계의 젊은이들이 우리나라 말과 글자를 배우고 있습니다. 또한 배우기 쉽고 제작 원리의 우수성 덕분에 사라져 가는 세계의 소수민족의 말과 문화를 지켜내고 있습니다. 14,000여개의 소리를 문자화 시킬 수 있는 '한글' 이자랑스럽습니다.